일상 22

M1 맥북 Logi Flow(로지텍 플로우) 버그 해결

업무상 맥북과 윈도우를 같이 쓰고 있는데, 이럴 때 유용한 기능이 로지텍 플로우였습니다. 로지텍 플로우는 맥북과 윈도우, 혹은 윈도우와 윈도우 등 각 기기간에 별도 페어링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, 기기 간 이동이 가능한 편리한 기능이었는데 아쉽게도 그간 M1맥북에서는 버그가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고 있었습니다. 오늘 오랜만에 해당기능을 다시 사용해보니 여진히 버그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. 그런데,,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윈도우와 M1맥북에서 진행하고 난 후 버그가 해결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.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은, 로지옵션을 실행시킨 후 나타는 "로지텍 마우스 이미지" 클릭, "자세히" 메뉴 클릭, "소프트웨어"에서 업데이트 확인 후 업데이트를 설치하면 됩니다. 윈도우와 M1맥북에서 동일하게 진행하면 됩..

일상/2021년 2021.11.15

MSI 노트북 OS(윈도우) 설치

[넋두리] 중소기업 경영지원팀에 재직하면서 발생하는 일들과, 인사/총무/전산 업무를 진행하면서 사람들이 궁금해하거나, 근로자들이 궁금해 할만한 것들을 써보자라는 취지로 Category를 생성했는데 바쁘다는 핑계로 글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. 앞으로 목적에 맞게 자주 올려보자,, 우선 오늘은 MSI 게이밍 노트북 중 Freedos(OS 미설치, 미포함) 모델에 윈도우10을 설치하는 과정에 있었던 일을 써보려고 합니다. 설치까지 잘 끝낸 것 같은데, 자꾸 이상한 화면(마치 리눅스 명령어, 윈도우 창 없이 영어만 쭉 나오는 명령 프롬프트 마냥)이 나오는 경우 이 글에서 알려주는 방법대로 하면 간단히 해결됩니다. 자꾸 이상한 화면 = startup.nsh 부팅오류 화면 1. USB가 되었든 외장 CD가 되었든 윈..

일상/2022년 2021.09.27

[비중격 만곡증] 수술 1년 후 이야기

안녕하세요. 비중격 만곡증으로 수술하고 벌써 1년이 지났네요. 오늘은 수술 1년 후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얘기하려고 합니다. 수술 이야기는 이전 글들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. 2020.08.03 - [일상/2020년] - [비중격 만곡증] 수술 일기 -1(수술 결정) [비중격 만곡증] 수술 일기 -1(수술 결정) 오늘 대전 유성선병원 진료 후 비중격 만곡증 수술 하기로 결정했다. 예전부터 비염이 자주 생기고 코가 불편해서 비중격 만곡증을 가지고 있다는건 알았었고, 청소년기에 외부 충격에 의해 코 funjuno.tistory.com 저는 미용목적으로 수술한 것은 아니고, 코로 숨을 잘 쉬고 싶어서 수술을 결정했습니다. 그 과정에서 휘어진 코도 휘어잡고 싶어했지요. 1년이 지난 지금 상황은 이렇습니다...

일상/2021년 2021.09.19

M1맥북에어와 외장모니터 Dell S2721QS 연결.

M1맥북에어와 외장모니터 Dell S2721QS를 연결하면서 겪었던 일들에 대해 적어본다. 1. USB-C Digital AV Multiport 어댑터 연결 공홈에서 정품으로 구매하였고 HDMI로 연결하였다. 간혹 외부 깜빡이는 현상이 있었으나 충분히 감안하고 쓸만했음. 하지만 연결 오류없이 4K화면을 보고 싶었기에 휴대용으로 사용하기로 함 2. USB-C to DP(디스플레이) 케이블 연결 4K 지원, 디스플레이 알트모드, HDCP였나? 아무튼 모든 기능을 다 지원한다고 해서 구매함. 하지만 연결 오류가 더 심해졌고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외부 모니터가 깜빡임. 3. USB-C to HDMI 케이블 연결 마찬가지로 4K지원, HDCP 등 모든 기능을 지원하는 케이블 구매. 현재 깜빡임 없이 이상없이 사용..

일상/2021년 2021.04.07

Dell 모니터 세로모드 깜빡임 오류(크롬브라우저 이용시)

환경 - Lenovo ThinkPad E14 - 11세대 i7 / NDVIA 외장그래픽 - 델 U2415 모니터 세로모드 - Chrome 브라우저 이용 - HDMI 케이블 연결 가로 모드로 사용할 때는 아무 이상 없었는데, 세로 모드로 변환해서 크롬을 이용하면 델 모니터는 괜찮고 노트북 화면이 깜빡깜빡였다. 드라이버 업데이트 해보고 HDMI 케이블도 교체해봤지만 실패. 마지막 방법으로 크롬 설정 - 고급 - 시스템에서 "가능한 경우 하드웨어 가속 사용" 체크 해제 하였더니 문제 해결! 누군가 나와 같은 증상이 있을 때 해결하길 바라면서 글을 남긴다. 끝.

일상/2021년 2021.01.21